Skip to the content

하이닉스반도체, CMOS 고주파 PLL 집적회로 칩 출시

하이닉스반도체가 세계 최초로 CMOS 공정을 적용한 고주파 PLL 칩을 개발, 양산에 돌입한다. 해당 칩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경쟁사 대비 낮은 잡음과 간섭을 자랑한다. 이는 국내 수입 대체 효과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0% 달성을 목표로 하며, 가격 경쟁력을 갖춘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된다.
· 고주파 주파수 합성기로는 세계 최초로 CMOS 공정 적용
· 아날로그, CDMA, GSM, GPS 방식 등을 모두 지원
· 올해 전세계 고주파 PLL 시장에서 10%이상 점유율 목표

1155_65477900

하이닉스반도체(대표 禹義濟, www.hynix.com)가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핵심부품으로 비메모리 반도체의 하나인 CMOS(상보성금속산화반도체) 고주파 PLL(주파수 합성기) 집적회로 칩(Chip)을 출시하여 다음달 양산에 들어간다고 5일 밝혔다.

하이닉스반도체가 이번에 출시한 칩은 0.25미크론(1미크론=백만분의 1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순수 자체기술로 18개월의 연구개발 기간을 거쳐 개발한 제품으로, CMOS 기술을 적용하여 고주파 PLL 집적회로 칩을 출시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同 제품은 아날로그 방식, CDMA 계열(디지털 셀룰라, K-PCS, US-PCS 방식 등) 및 GSM 계열과 GPS(위치측정시스템) 등을 모두 지원하며, 레지스터 값만 변경하면 타사 제품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특히, 경쟁사 제품 대비 펄스(Pulse)-전압변환부의 전류값 차이(Charge Pump Mismatch)가 거의 없고 고주파와 중간주파수간의 간섭현상을 대폭 줄였으며, 분수분주기(Fractional-N) 타입(type)이 가지는 高調波 잡음 문제도 해결하여 잡음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또한 同 제품은 이 제품이 장착된 평가보드, 평가보드 매뉴얼, 구동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환경이 함께 제공되며, 구동 소프트웨어는 개발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루프 필터(Loop Filter) 설계에 있어서 최적화된 값을 제공, 응용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했다.

하이닉스반도체는 이번 출시를 통해 CMOS 공정을 적용한 고주파 기술로 전류소모를 줄이고 저비용을 실현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블루투스 싱글칩 등 CMOS 고주파 집적회로의 개발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주파 PLL 시장은 미국 내셔널세마이컨덕터社 제품이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이번 하이닉스반도체의 CMOS 고주파 PLL 집적회로 출시는 국내 CDMA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칩의 수입대체 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이닉스반도체는 올해 3천5백억원 정도로 예상되는 전세계 이동통신 고주파 PLL 시장에서 1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하여 점차 매출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2003년 3월 5일(水)
-끝-

■ 용어 설명
– PLL(Phase Locked Loop) : 주파수 합성기 송신해온 신호를 기준주파수와 같아질 때까지 계속해서 순환시켜 주파수를 고정시키거나, 원하는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해 주파수를 합성하는 기능을 하는 제품

–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 상보성금속산화반도체 MOS반도체에서 p채널 트랜지스터와 n채널 트랜지스터를 접합하는 상보 회로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집적도가 높고 소비 전력이 적은 잇점이 있다.

– 루프 필터(Loop Filter) 커패시터(Capacitor)와 저항으로 구성된 회로로써, Charge Pump에서 밀고 당겨오는 전하를 축적했다가 입력전압을 가변하는 역할과 高調波 잡음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연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