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감상 해보셨나요? 그림 못지않게 교양이 쌓여요. 아~ 오늘은 쭉쭉이를 못봤네요.” 취미생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대화가 심상치 않게 흘러갑니다. 나무를 그저 바라만 보아도 행복하다는 이 남자, 나무에 대한 애정이 보통이 아닌듯 합니다. 그리고 또 ‘쭉쭉이’는 누구인지 진심으로 궁금합니다. 오늘은 조경에 푹~ 빠졌다는 이준호 선임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_ 나무 덕후 7년차 SK하이닉스 7년차
첫인상과는 달리 너무나 ‘정상’적인 업무를 하고 있는 이준호 선임은 취미도 특기도 ‘나무 사랑’입니다. 사내 전체의 조경을 책임진 유일한 직원이었던 그는 조경 업무를 만나면서 나무에 대한 ‘덕질’도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그가 맡은 첫 업무는 ‘운동장 주변 조경’ 이었습니다. 인테리어를 전공하면서 배운 조경 지식으로 SK하이닉스 전체를 관리하는 것은 부담스러웠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관찰하고 무조건 공부하며 맡은 프로젝트에 최선을 다했는데요.
현재의 운동장 조경이 완성되기까지, 4~5번의 나무 교체가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 나무들이 늘 거기에 있었고, 그 나무에 관심을 가진 사람도 그리 많지 않으니까요.
그렇게 애증의 첫 프로젝트가 끝나고, 유난히 마음에 들었던 나무에게 ‘쭉쭉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병들지 않고 잘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이었겠죠.
_ 덕후의 최고수는 덕업일치
나무에 이름 붙이는 정도로는 ‘나무 덕후’가 되긴 부족합니다. 그러나 이준호 선임의 하루일과를 살펴보면 나무에서 시작해서 나무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심지어 인터뷰 대화 역시 삼천포가 아닌 나무늪으로 빠져버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와의 대화에 주변인들은 ‘정상이 아니다’ 손사래를 치기도 하지만 어느새 ‘그때 비올 때 어느 나무라고? 느티나무였나?’ ‘어떤 나무가 피톤치드가 많다고 했지?’ 등 이준호 선임에 동화되어 버렸다고 합니다.
이렇듯 끊임없이 나무사랑을 전파하는 이준호 선임은 그동안 업무와 관심사가 같아 ‘덕후’임을 잘 숨기고 살았는데요. 최근 스마트워크팀으로 옮기면서 그의 덕력은 소문이 났고, 이렇게 SK하이라이트에 제보까지 들어왔습니다.
_ 제보자 김모양
근무시간에 당당히 나무 옆을 지킬 수 있었던 조경 업무를 떠날 땐 무척 슬펐다는 이준호 선임. 지금도 그는 짬이 나면 마음 닿는 나무 옆으로 달려가거나, 조경도면을 그리고 3D작업을 하면서 헛헛한 마음을 달래고 있다고 합니다. 비록 시작은 일이었지만 건전한 설렘을 갖게 되었고, 스트레스 해소도 힐링도 나무와 함께하는 그는 ‘덥업일치’를 이룬 진정한 ‘성덕’(성공한 덕후)이였습니다.
_ 에코 커뮤니케이터 혹은 숲 박사님
안동, 그중에서도 시골에서 나고 자랐다는 이준호 선임은 정서상 빌딩숲보단 녹색숲이 당겼습니다. 학창시절에도 도시녹화사업등 푸르름을 만드는 분야에 관심이 많았고요.
얌전한 성격의 이준호 선임은 활동적인 취미는 없습니다. 그저 조용히 앉아 업무를 마치고, 그날그날 마음에 드는 나무 아래를 퇴근길로 선택하면 그저 미소가 나와버린다고 합니다. 유일한 취미이자 유일한 특기인 나무사랑은 빡빡한 일상 속에서 웃음 짓게 하는 활력소입니다.
이준호 선임은 꿈을 꿉니다. 만물 숲 박사님이라 불려도 좋고, 에코 커뮤니케이터로 불려도 좋습니다. 그저 오늘의 벅찬 삶을 살아가는 친구들에게 자연과 대화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그 행복함을 말입니다.
‘나무 보고 있는 게 무슨 취미야’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겠죠. 그런 분께 되묻고 싶습니다. ‘당신을 몰두할 수 있게 하는 존재는 무엇인지’, ‘당신을 힐링시켜주는 것은 무엇인지’ 말입니다. 흔한 취미는 아니지만 충분히 나무에게서 위로받고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으니, 그에게는 최고의 취미가 아닐까 합니다. 오늘의 이준호 선임도 그의 내일도 언제나 응원합니다.